조선왕조 왕실 활옷 제작에 쓰인 원단의 종류와 색

조선왕조 왕실 활옷은 궁중에서 직접 만든 원단이나 중국에서 수입한 고급 직물을 사용해서 만들어졌습니다. 누에고치에서 나온 실로 만든 직물은 왕실 의복의 주요 재료이며, 실의 품질이나 직조 방식에 따라서 그 종류가 나뉘어 집니다.

활옷의 옷감 종류와 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필단(匹緞)

필단(匹緞)은 가로실과 세로실을 가능한 적게 교차하여 가장 교차점이 적은 직조방식인 주자직(朱子織, Satin weaves)을 활용한 단(緞)의 한 종류입니다. 필단은 궁중이나 중국에서 생산되었던 고급 직물 중 하나였습니다. 수자직 또는 공단(貢緞)이라고도 불리는 주자직은 내구성은 약한 편이지만, 매우 부드러운 촉감과 광택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자직 직조방식(좌) / 단(緞) 원단과 확대 사진(우)

정주(鼎紬)

정주(鼎紬)는 활옷의 안감으로 사용되었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직조 방식인 평직(平織, plain weave)을 활용한 주(紬)의 한 종류입니다.

평직 직조방식(좌) / 주(紬) 원단과 확대 사진(우)

능(綾)은 가로실과 세로실을 두 번 이상 건너뛰고 교차하는 직조방식인 능직(綾織, twill weave)을 사용해 만든 옷감을 말합니다. 능은 은은한 광택이 있고, 주에 비해 구김이 덜한 직물입니다.

능직 직조방식(좌) / 능(綾) 원단과 확대 사진(우)

광적

영조 대 이후부터 활옷의 겉감으로 사용되었던 광적은 그 용어의 사용이 광범위하여 직물의 종류가 무엇인지 정확히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넓은 폭의 다양한 직물을 가리키는 말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대홍색

활옷의 색은 왕의 색이라 불리며, 노란색 기운이 전혀 섞여있지 않은 가장 진한 홍색인 대홍색으로 염색하는 것이 일반적 이었습니다.

조선시대 의례복에 사용된 홍색이라 불리는 붉은 색은 대홍, 진홍, 목홍, 소홍, 토홍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대홍과 진홍은 홍화, 소홍은 소방목, 토홍은 주토를 염료로 사용했습니다.

대홍은 그 염료로 사용되는 홍화의 값이 비쌀뿐만 아니라 염색 공정도 복잡하여 왕실에서만 제조 가능했기 때문에 더욱 귀한 색으로 여겨졌습니다.